티스토리 뷰


영화 나랏말싸미는

자음과 모음, 총 28자의 한글이 탄생하기까지에 이야기를 담은 영화입니다.

이는 오늘날 오늘의 우리에겐 공명을 전하는데요 : )

 

영화의 스토리는 이렇습니다!

 중국의 여러 언어학 서적을 섭렵했음에도 새 문자의 힌트를 잡지 못해 괴로워하던 세종대왕 (송강호분)

힌트는 엉뚱하게도 조선이 억압했던 불교의 유산인 ‘팔만대장경’ 안에 있었습니다. 

세종은 신미를 통하여, 불경을 기록하기 위해 만들어진 소리글자인 산스크리트어를 접하고 ‘소리글자’로 방향을 잡지만, 


먹고 살기도 벅찬 백성이 배워서 쓰려면 무조건 간단하고 간단해야 합니다는 새 문자의 원칙 앞에선 쉽게 길을 찾지 못합니다. 발성기관의 모양을 따 어금니 소리 ‘ㄱ’ 혓소리 ‘ㄴ’ 입술소리 ‘ㅁ’ 잇소리 ‘ㅅ’ 목소리 ‘ㅇ’으로 기본자가 만들어지고, 



이후 소리를 채집하고 구분하기까지. 세상의 모든 소리를 담을 방법을 찾기 위해 머리를 맞대는 이들은 왕인 세종, 왕자인 대군들, 스님 등 계급도 종교의 차이도 가볍게 뛰어넘습니다. 소리글자인 한글이 그 형태를 찾아가고 갖추어 가는 경과에 대해서는 

언어학자와 종교학자 등 전문가들의 자문을 바탕으로 철저한 증명을 거쳐 역사적 사실성을 

더해 더욱 실감나는 드라마를 완성했습니다. 세상의 지엄한 질서와 다르게 수양과 안평, 두 왕자에겐 



미천한 계급인 신미 스님을 선생으로 모시라고 말하는 세종대왕의 모습은 ‘한글’ 창제 경과 자체가 

전복의 얘기일 수 있었음을 시사합니다. 불가능해 보이는 목표를 향해 마음을 합쳐 달가는 

이들을 응원하듯 지켜보게 하는 [나랏말싸미] 속 한글 창제의 경과는 완성의 순간과 벅찬 감명을 전합니다. 또한 구중궁궐 안에 깊숙이 숨어있었을 법한 중전과 궁녀들이 정작 태어나자마자 유신들에 의해 사장될 수 있었던 ‘한글’의 명맥을 




보존한 장자신이었습니다는 점도 영화 [나랏말싸미]와 ‘한글’이 가진 아름다움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또한, 새 문자를 반대하는 유신들에겐 “공자가 부처를 만났대도 이러진 않았을 것”, 

“나는 부처의 말도 진리라 생각합니다. 세상이 진리 때문에 망하지는 않늡니다. 

서로를 이단이라 삿대질하며 제 밥그릇만 챙기다 망하는 것입니다”, “너나 나나 

백성들이 지어준 밥을 빌어먹고 살지 않느냐?”라고 말하는 세종의 대사들은 

500여년 전 조선을 살아갔던 이들의 모습을 통하여 오늘의 우리들을 돌아보게 만드는 긴 공명을 남깁니다.



참고로 이번 영화는 배우 전미선님에 마지막 유작이 되었는데요...

삼가 고인에 명복을 빕니다...

쿠ㅡ키에 대한 정보를 정리드리자면 영화가 마치면 바로일어 나시면 됩니다.

(없다는 이야기)